비정기적인 조회 당시의 가격입니다. 해당 시점의 판매조건/옵션등에 의해서 가격차이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.
✅ 장점
- 48개의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를 제공하여 많은 수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.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이나 많은 단말기를 연결해야 하는 곳에 적합하며, 향후 확장성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.
- 4개의 SFP+ 슬롯을 갖추어 10Gbps의 고속 링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. 서버와의 연결이나 백본 네트워크 구성에 유용하며,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환경에서 속도 저하 없이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영이 가능합니다.
- 최대 370W의 PoE(Power over Ethernet) 기능을 지원합니다. IP 카메라, 무선 AP, IP 전화기 등 PoE 지원 장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별도의 전원 어댑터 없이 설치가 간편합니다. 케이블 관리가 용이해지고, 설치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.
- L2 관리형 스위치이므로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. VLAN, QoS,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(STP), 포트 보안 등의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 네트워크 관리자가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, 네트워크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.
- 시스코(Cisco)라는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 제품이므로 안정적인 성능과 기술 지원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장기간 안정적인 네트워크 운영이 중요한 환경에서 신뢰도 높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, 시스코의 기술 지원을 통해 문제 발생 시 신속한 해결이 가능합니다.
-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 도구와의 호환성을 제공합니다. 시스코의 자체 관리 도구뿐만 아니라 타사의 관리 도구와도 호환되어, 기존 네트워크 환경에 통합하기 용이합니다. 기존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최대한 활용하고,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- CBS250-48P-4X 모델은 콤팩트한 사이즈로 공간 효율성이 높습니다.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, 데스크탑이나 서버 랙에 설치하기에도 적합합니다. 설치 공간을 고려해야 하는 환경에서 유용합니다.
- 고성능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많은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.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네트워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끊김 없는 네트워크 운영이 중요한 환경에 적합합니다.
- 웹 기반의 직관적인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초보자도 쉽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 복잡한 설정 과정 없이 간편하게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. 네트워크 관리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에게 유리합니다.
- 업계 표준 프로토콜을 준수하여 다양한 기기와의 호환성이 우수합니다. 다양한 브랜드의 네트워크 장비와 원활하게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네트워크 환경을 확장하거나 변경할 때 유연성을 제공합니다.
😚
⚠️ 단점
- 가격이 다소 높습니다. 다른 브랜드의 비슷한 사양의 스위치에 비해 가격이 높을 수 있으며, 예산이 제한적인 사용자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. 구매 전에 예산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.
- PoE 지원 포트의 총 전력량이 370W로 제한되어 있습니다. 많은 PoE 장비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, 전력량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. PoE 장비의 전력 소모량을 미리 확인하고, 필요한 전력량을 충족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- 고급 L3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 고급 라우팅 기능이 필요한 경우, 별도의 L3 스위치나 라우터를 추가로 설치해야 합니다. 네트워크 환경의 복잡성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과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SNMP, RMON과 같은 고급 모니터링 기능은 유료 라이센스를 통해 이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. 모니터링 기능을 활용하려면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예산 계획에 포함해야 합니다.
- 설정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. 많은 기능을 제공하지만, 모든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관리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설정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.
-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고성능 스위치이기 때문에 작동 중에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소음에 민감한 환경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. 설치 위치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.
- 크기가 다소 커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있습니다. 제한된 공간에 설치해야 하는 경우, 설치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 랙 마운트 설치를 고려해야 합니다.
- 장비의 발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장시간 사용 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적절한 환기가 필요합니다. 장비 주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, 과열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
- A/S 관련 정보를 사전에 충분히 확인해야 합니다. A/S 기간이나 절차, 비용 등을 미리 확인하고,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합니다. A/S에 대한 불편사항 발생을 최소화해야 합니다.
-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최신 기능을 사용하거나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할 수 있으며, 업데이트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 업데이트 전에 백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.